Comparing ACT meditation and Samatha-vipasyanā practice of Awakening of Mahāyāna Faith

Sun-Young Yun1,*   

1Dongbang Culture University, master’s course

Abstract

수용전념치료(ACT)’는 수용과 행동 변화의 과정을 마인드풀니스(Mindfulness)를 적용해 심리적 유연성 향상을 촉진하는 치료이다. 한편, 대승기신론은 대승불교의 가장 위대하며 독보적인 논서이며, 특히 중생 이익을 위해 대승운동을 전개해야 함을 강조한다. 즉, 대승기신은 자리(自利)와 이타(利他)를 병행시켜 공공세계로 나아가는 대승운동으로 일심(一心)의 도리를 구하고 있고, 그 구체적 수행 방법의 길을 지관수행을 통해 설명하고 있다.

두 이론은 불교의 사띠(sati)개념에서 발생된 명상이자 수행으로서 인간의 마음이 주제이며, 인간의 번뇌에 따른 마음의 고통을 치유하는 데 그 궁극 목적을 두고 있다. 그래서 동, 서양과 시, 공간이라는 간극에도 불구하고 개념적으로 상당히 많은 부분의 유사성과 동시에 차이점과 서로의 한계점을 갖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대승불교의 사상이 그대로 반영된 원효의 대승기신론에 나오는 수행법인 지관수행과 불교의 진리에 맞닿아 있는 수용전념치료의 치유원리에 나타난 명상의 의미를 비교하여 동, 서양의 마음 치유를 목적으로 하는 융합점을 모색하고자 한다.

The ACT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is a treatment that promotes psychological flexibility by applying Mindfulness to the process of acceptance and behavioral change. The Awaking of faith in Mahayana emphasizes that the Great Buddhist spirit should develop a Mahayana movement for the benefit of the people. In other words that is seeking the right of Il-sim (one whole mind) as it is a great victory movement that leads to the public world by combining the self-benefits and others-benefits and explains the way of the concrete practice through amatha-vipayanā. The two theories are meditation or practice in the Buddhist Sati concept, and the human mind is the subject, and the ultimate purpose is to heal the pain of the mind caused by human agony. Therefore, despite the gaps( East, West, Time, and Space), there are conceptually a lot of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nd limitations. In this paper, we will seek to find a fusion point for the purpose of healing the hearts of the East and the West by comparing the meaning of meditation in the practice of the Buddhist practice and the ACT that is in contact with the truth of Buddhism.

Figures & Tables

그림 1. ACT의 여섯 가지 핵심 치료과정(Hayes, Strosahl, & Wilson,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