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Examination of System of Practice in Yogācārabhūmi and the Status of Mindful breathing

Jae-Yong Park1,*   

1Dongguk University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유가사지론의 <성문지><독각지><보살지>에 나타나는 수행체계를 고찰하고, 호흡수행의 위상을 밝히고자 한다. 유가사지론은 요가수행의 실천 뿐 아니라 불교교리 전반을 포함하는 백과전서 형태를 띠고 있는데, 각 지(地)에서는 성문·독각·보 살의 3승의 종성(種性)·근기·수행법 등을 자세히 설하고 있다.

<성문지>에서는 초기불교 이래 전통적 수행법에 속하는 사념처, 오정심관 등이 수행대상으로 등장한다. <독각지>는 독각의 수행 법을 사성제 관찰 및 37보리분법 등으로 설하고 있다. <보살지>에서는 대승경론의 보살의 교의를 정리해서 설하고 있으며, 37보리 분법 외에 바라밀 수행과 사심사관·사여실지관을 수행법으로 제시하고 있다 .

유가사지론에서 호흡수행은 <성문지>에만 등장한다. <성문지>의 호흡수행은 초기불교의 호흡수행과 유사하지만 차제적 성격을 가지며, 견도 이후 수도의 수행으로 제시된다는 것이 독특한 점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유가사지론의 호흡수행이 초기불교의 호흡수행과는 다른 내용이 있다기보다는 아비달마 이후 차제(次第)수행으 로 정립된 이후 <성문지>에 이와 유사하게 정립된 것으로 파악하였다 .

This research examines practice system as shown in rāvakabhūmi, Pratyekabuddhabhūmi, Bodhisattvabhūmi chapters of Yogācārabhūmi, and assesses a status of Mindful breathing in Yogācārabhūmi. The chapter of ‘ rāvakabhūmi’ describes traditional method since Early Buddhism, Cattāro-satipa hānā(四念處) and Five Types of Mindfulness(五停心觀). The chapter of ‘Pratyekabuddhabhūmi’ explains observation of Four Noble Truth and 37 factors of enlightenment. The chapter of ‘Bodhisattvabhūmi’ explains four kinds of investigation(四尋思觀), the four enlightenments(四如實智觀) as practicing methods. Mindful breathing only appears in the chapter of ‘ rāvakabhūmi.’ It is similar to a Mindful breathing of Early Buddhism, but has a sequence order. What’s notable about the 16-step Mindful breathing of Early Buddhism is that bhāvana mārga(修道) is suggested after dar ana mārga(見道). I examined the status of Mindful breathing in light of the fact that Yogācārabhūmi is a compilation, and that the Mindful breathing only appears in the chapter of rāvakabhūmi. Mindful breathing was incorporated into rāvakabhūmi in consideration that it was established as a sequence practice as it underwent Abhidharma.

Figures & Tab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