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Experimental study of Non face-to-face Mindfulness and Compassion Based Group Counseling Participants

Eunsang Lee1,*   

Abstract

본 연구는 비대면 마음챙김과 자비기반 집단상담 참가자들의 경험을 이해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비대면 마음챙김 과 자비기반 집단상담에 참여한 8명을 대상으로 집단상담 진행 후 경험한 내용에 대해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그 결 과 집단상담 참여 후 경험내용은 4가지 범주로 구분할 수 있었다. 4가지 범주는 몸과 신체의 안정, 정서 및 감정 조절 증진, 알아 차림 및 자기이해 확장, 긍정적 행동 및 대처능력 향상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전에 참여한 대면집단상담과 비교한 경험 내용 범주는 5가지 범주로 구분할 수 있었다. 5가지 범주는 접근 용이성 및 시간적 여유, 참여에 안정감과 편안함, 현실 적용 및 연결 성에 용이, 상호작용 및 친밀감 형성에 제한, 몰입 및 집중의 한계로 나타났다 .

본 연구에서 나온 결과를 바탕으로, 비대면 마음챙김과 자비기반 집단상담의 치료적 의의와 본 연구의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 였다.

This study i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experiences of non face-to-face Mindfulness and Compassion based Group Counseling participants. For this purpose, A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on the experience contents of the group counseling after the group counseling with eight participants who participated in non-face-to-face Mindfulness and Compassion-based Group counseling. As a result, the experience contents of the group counseling can be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The four categories appeared as body stability, enhancing emotional regulation, expanding awareness and self-understanding, improving positive behavior and coping ability. In addition, the categories of experience content compared to previous participating face-to-face group counseling could be divided into five categories: Accessibility and time margins, reliable and comfortable engagement, ease of reality application and connectivity, limitation of interaction and engagement, limitation of immersion and concentration. Based on the results from this study, I discussed the therapeutic significance of non-face-to-face Mindfulness and Compassion based Group Counseling and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Figures & Tab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