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wareness of Imagination and Depression

Geunwa Jeong1,*   

1Soro Orot Institute: Counselor Group for Counseling and Education of Multicultural and Social Justice Issues

Abstract

본 연구는 공상의 자각이 우울 경감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대학생 및 대 학원생 402명을 대상으로 공상의 자각 질문지,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질문지, Beck 우울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총 373명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SPSS 23.0과 AMOS 23.0을 사용하여 상관 분석, 구조방정식을 이용한 매개효과 검증을 실시하 였다. 그 결과, 공상의 자각과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유의한 정적 상관, 공상의 자각과 우울,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우울의 유 의한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또한 공상의 자각과 우울 간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완전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 타났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상담에 대한 시사점과 제한점 및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

This study aimed to explore mediating effects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when awareness of illusion affected the reduction of depression.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402 college students using awareness of illusion inventory,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questionnaire, and Beck Depression Inventory(BDI).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23.0 and AMOS 23.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showed complete mediating effect in relation between awareness of illusion and depress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to confirm how awareness of illusion affected the depression through posi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model. Finall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with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based on the results.

Figures & Tables

그림. 1. 측정모형 검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