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alue Work in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 Based on my case

Research
김 진기  Jin-ki Kim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ccurate understanding of ACT (acceptual concept) that is widely used as part of the recently proven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the goals of value and the concrete measures of implementation and the results of implementation, social members themselves were freed from these complex competitive societies to secure psychological flexibility and study for the purpose of a more affluent and leisurely life. The research method selected the value of the six values of ACT, and conducted the study in a way to find out the phenomenon about the importance of specific values through the Life Principle Survey (SLP) and analyz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importance of specific values and the practice in practical situations to derive the results of the specific goals, implementation and implementation. The results of value felt by participants themselves through value work in ACT was recognized in the order of physical activity and health, safety, hedonism, experience control principle, and universalism, the order of value centered on performance in real life showed the highest performance of safety and the order of physical activity and health, hedonism, experience control principle, and universalism. The conclusion of the study analyzed the difference between importance and performance through the value work of ACT in practical cases. This paper hopes that a collective study will be conducted to analyze the importance of the values felt by group members and the difference in practical execution ability by studying the cases of organizations in common social professions or positions, although they have focused on personal cases.

Keyword



Ⅰ. 서론

본 연구는 현대사회가 급속히 진행되는 사회 환경의 변화와 4차 산업과 같은 신기술, 신경영의 급속한 진행에 따라 사회 구성원들의 지위는 점점 물질 만능주의와 치열해 지는 경쟁구조 때문에 심리적으로 위축되고 불확실한 미래 때문에 점점 정신적으로 불안한 상태가 지속 유지되고 있다. 그에 따라 국가 경쟁력이나 사회구성원의 활력을 찾는데 있어서 개선방안이 절실히 필요한 시점이라 인식된다. 따라서 이런 불안하고 불안정인 사회 구성원의 심리상태를 좀 더 안정되고 편안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방안 중 자아에 대한 현재의 심리상태를 스스로 인식하고 급변하는 사회변화에 적절하게 순응할 수 있는 인지 치료에 대한 자아 치유 방안의 하나인 ACT(수용전념)중요성과 필요성이 중요하게 인지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런 필요성과 중요성에 따라 ACT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이를 실질적인 사례를 중심으로 불안정한 자아의 상태를 개선하고자 한다. 그 결과로 안정되고 편안한 심리상태를 유지하여 급변하는 현대사회의 환경변화와 그에 따른 미래의 불확실한 불안한 상태에 따른 심리적인 불안정한 상태를 보다 안정적이고 편안한 상태로 개선하고자 할 목적으로 연구를 하게 되었다. 수용전념치료에서의 가치 작업을 연구 참여자의 사례를 중심으로 연구를 통해 가치의 목표를 설정하고 실행방안을 마련하고 실제 실행을 통한 결과를 도출함에 있어 참여자 자신의 문제를 풀어나가는데 좀 더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연구에 도움이 될 수 있었다고 생각된다. 수용전념치료의 6가지 방안 중 가치를 중심으로 연구하게 된 이유는 현재에 접촉하기와 수용하기 그리고 맥락적 자아에 대한 인식과 탈융합 과정이 가치의 방향을 설정해 가는 일련의 과정이라 생각했고, 이후의 전념과정도 가치의 목표를 설정하고 구체적인 실행방안을 실행해 나가는 일련의 실행과정이라 생각되어 가치를 중심으로 연구하게 되었다. 또한 본 연구는 가치 중심의 목표와 구체적인 실행방안을 제시하는 것에서 끝나지 않고 연구 참여자의 사례를 중심으로 실질적인 실행을 통한 결과를 도출시켜 참여자의 문제가 되었던 여러 문제점들을 가치 중심으로 생활의 변화와 좋은 습관을 갖게 되어 연구의 의미가 있었다고 생각한다.

Ⅱ. 이론적 배경

1. 수용전념치료(ACT)란?

수용전념치료(ACT)의 이해를 한 수용전념치료의 특징, 치료 기제를 살펴본 후 수용전념치료의 선행연구들을 알아보고자 한다

1) 수용전념치료의 특징 및 구성 요소

알아차림이나 수용에 기반을 둔 치료방안들은 기존 인지행동 치료에서 나왔지만, 이론적, 철학적 배경에 차이가 있으므로, 제3세대’ 흐름으로 불린다. 이러한 일련의 흐름 속에서 선두의 위치에 있는 치료 접근 중 하나인 ‘수용전념치료(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ACT)’는 수용(Acceptance)과 전념(Commitment)을 강조하는 심리행동치료의 한 방식으로, 수용과 행동변화의 과정을 통해 생각, 감정, 갈망에 반응하여 심리 유연성 향상을 촉진하는 치료이다(유춘자, 2017). 인지치료와 행동치료에서는 일반적으로 경험의 수용보다는 변화에 역점을 두어왔다(Hayes, Wilson, Gifford, &Strosahl, 1996). ACT는 수용과 전념의 과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수용은 통제 불가능한 부분을 회피하지 않도록 하며, 전념의 구성요소들은 자신의 가치(value)와 일치하는 행동을 할 수 있도록 돕는다. 수용전념치료는 다음의 세 가지 철학적, 이론적 기반이 있다. 첫째, 인간의 ‘고통의 보편성’이다. 모든 인간은 살면서 크고 작은 고통을 겪고 있으며, ‘고통 혹은 병이 없는 것이 정상이다’ 라는 정신 병리적 관점에서 바라보는 ‘건강한 정상성 가정(assumption of healthy normality)’은 수시로 고통을 경험하고 있는 인간 스스로를 낙인찍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Hayes, Strosahl Wilson(2012)은 정상성에 대한 가정이 신체적인 건강에는 어느 정도 타당성을 가지고 있으나 심리적 건강에는 맞지 않는다고 보았고, ‘인간의 적응에 도움이 되거나 일반인 심리 과정들이 때로는 심리 고통이나 병리를 가져올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둘째, ‘기능맥락주의(functional contextualism :Biglan& Hayes, 1997)’ 이다. 기능 맥락주의는 ‘행동은 그 행동이 발생한 상황, 배경 즉, 맥락 내에서 가장 유용하게 이해될 수 있다’ 는 관점으로, 맥락주의와 행동의 효과는 오로지 그 행동의 실용성(workability)에 의해 결정된다. 이에 수용전념치료에서는 이상행동이 어떤 맥락에서 일어나는지를 전체적으로 이해하고, 행동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실용적인 목표를 강조한다. 셋째, ‘관계 구성 이론(Relational Frame Theory)'이다(Hayes, Barnes-Holmes, Roche, 2001). 이는 기능 맥락주의에서 인간의 언어와 인지를 이해하고자 하는 접근으로, 인간의 사고가 심리 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약화하는 방법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여기서 관계 구성이란 두 자극 사이에서 이끌어낸 임의적 관계에 기초하여 그 자극에 반응하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유아에게 상상의 동물 그림을 보여 주며 “이건‘겁겁’이야”라고 이름을 알려준 후, 같은 그림을 보여주면서 “이건‘우우’소리를 낸다” 고 알려주면 그 그림과 동물의 이름 간의 관계, 그리고 그림과 그 동물의 울음소리 간의 관계만을 가르쳤지만, 유아는 자신이 배운 내용을 연결하여 생각할 수 있다. 즉, 그 그림이 ‘겁겁’ 이란 말을 가리킨다는 것과, ‘겁겁’ 이란 단어가 그 그림을 지칭하는 것도 알게 된다(Hayes & Smith, 2005). 이러한 철학적 기초에 근거한 ACT의 목표는 ‘심리 유연성’의 증진을 치료목표로 삼고 있다. ACT는 이러한 치료 목표를 달성하기 한 6가지의 핵심적인 치료 기제를 가지고 있다. 수용(acceptance), 인지적 탈융합(cognitive defusion), 맥락으로서의 자기(self as context), 현재 순간에 대한 유연한 주의(flexible attention to the present moment), 가치(value), 전념행동(commitment action) 등 이다(Hayes, Strosahl, & Wilson, 1999). 6가지 핵심치료 과정은 상호연관 되어 있으며 유동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모든 치료과정은 유연하고 가치 일관된 행동, 즉 치료목표를 촉진하는데 사용된다(Ciarrochi& Bailey, 2008).

먼저, 현재의 순간과 접촉하는 과정에서 유연한 주의는 현재 순간과의 접촉을 증가시키기 위해 알아차림(Mindfulness)을 통한 내부 및 외부 자극을 인식하도록 한다. ACT치료에서 현재 순간에 접촉하기는 지속적이고, 유연하며, 집중적이고, 자발적이어야 함을 강조하는 것으로(Hayes et al., 2013), 개인은 자신의 생각, 감정, 기억 등의 내적 경험에 몰두하게 되면 현재의 순간에 접촉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현재 순간에 접촉하게 하는 방법으로는 먼저 내 경험의 존재를 관찰하고 알아차리도록 하는 것과 어떠한 판단이나 평가 없이 현재의 경험을 명명하거나 기술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것은 단지 생각을 생각으로 바라보게 함으로써 두려움을 자극하는 인지의 자극을 감소시키고, 이때 작동하는 자기 감찰을 사용하기는 하지만 자신의 경험 을 분류하거나 분석하지 않고 바로 알아차리도록 하는 것이다(Kenny, &Bizumic, 2016).

둘째, 수용은 개인의 역사에서 유래한 감정 및 생각 등 사적 경험의 빈도나 내용을 변화시키려고 시도하지 않은 채 생각과 감정 등 심리 고통을 유발하는 사적 사건에 반응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기 위해 알아차림을 하는 것이다. 수용할 때, 자신의 생각이나 감정의 내용이나 크기 등을 바꾸거나 없애지 않고 다툼을 그만 두는 것이다. 이는 증상을 감소하려고 생각이나 감정의 변화를 시도하거나 통제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준다(Hayes et al., 2004). 그러므로 사실적 경험에 대해 회피 하거나 통제하려 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의 사건을 기꺼이 경험한다. ACT에서는 불안, 우울 등의 심리적 고통을 호소하는 사람들의 문제를 불안, 우울 등의 정서적 회피나 통제로 보고 감정인 통제나 회피의 패턴을 탐색하고 자발인 수용을 할 수 있도록 돕는다. 즉, 비 판단적인 자각의 태도를 가지고 발생하는 생각, 감정, 신체감각 등의 경험을 능동적으로 수용한다.

셋째, 인지적 탈 융합은 언어의 정의, 감정의 언어적 내용과 그 기능 사이의 연관성을 약화하는 것으로서 내적 사건에 대한 중립적인 인식을 촉진한다. 그럼으로써 생각에 대한 관계가 느슨해지고 유연성이 늘어나게 되며, 생각의 내용이나 빈도가 줄어들기보다는 생각에서 거리를 두게 되어 생각을 믿는 정도가 감소하게 되고 가치와 관련된 행동을 할 수 있는 심리적 여유가 증가하게 된다.

인지 융합은 문제 해결의 과도한 사용과 감정을 회피하는 등의 적극적인 노력에서 얽히게 되는 ‘경험회피’로 알려진 모든 반응을 일으킨다. 이 상황에서 인지적 탈융합은 예를 들어, 부정인 생각에서 거리를 두거나 생각에 모양, 크기, 색, 형태 등을 부여하여 외부에서 관찰된 사건으로 취급 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우리가 고통을 해결하는 방법은 현재와의 접촉을 잃어버리고, 자신에 대한 부정적인 이야기를 믿는 등 우리 삶의 방식을 경직시키는 것으로 이를 심리적 경직성이라고도 부른다(Luoma, Hayes, & Walser, 2007).

넷째, 맥락으로서의 자기는 생각, 감정 등의 사적 경험을 관찰하고 행동 을 선택하는 주체로서의 자기를 말하며, ACT는 개인을 특정한 정의 속성에 의해 만들어진 ‘개념화된 자기’에서 개별적인 실체로서 경험할 수 있는 ‘관찰하는 자기’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한다(Hayes et al., 1999). ‘관찰 하는 자기’ 또는 ‘맥락으로서의 자기’라는 것은 많은 생각과 감정 행동을 경험하지만, 그것에 의해 정의되거나 지배되지 않는 개별인 존재라는 것을 의미한다(Hayes et al., 2004). ACT 치료는 맥락으로서의 자기를 관찰할 수 있게 되면, 사적 사건과 이를 경험하고 관찰하는 나를 구별 하게 되어 개념적인 자기에서 탈동일시 될 뿐 아니라 인지적 탈 융합과 수용도 촉진하게 된다(김채순, 2012).

다섯째, 가치란 자신이 선택한 행동의 질적인 측면으로써 살아가면서 끊임없이 계속되는 과정을 말하며, 가치관에 도달하거나 성취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삶을 살아가는 방향과 선택을 의미한다. 이 과정에서 가치는 자신의 의지에 의해 자유롭게 선택되고 사회 또는 가족의 기대에 따라 선택하지 않는 것도 중요하다. ACT의 수용 및 탈융합 등 다른 핵심과정들은 그 자체로서 목표가 되는 것이 아니라 개인의 가치와 일관된 삶의 목표을 명료화하는 데 도움이 된다. 개인이 자신의 삶을 통해 구현하고자 하는 가치를 명료화하고 그 가치를 실현하는데 전념할 수 있도록 해 주는 것은 ACT의 궁극적 목표달성에 매우 중요한 치료과정이면서 동시에 치료 목표이기 때문이다.

이렇듯 ACT에서의 가치란 내담자 자신의 삶에서 하고자 하는 것의 전부이며, 자신이 선택한 삶의 방향으로 알려져 있다. 삶의 방향은 어떤 물건을 소유하거나 어느 지점에 도달할 수 있는 것과는 다른 것이며 (Ciarrochi& Bailey, 2008), 가치에 따른 선택은 개인이 할 수 있는 대안 중의 하나를 결정하는 것인데, 그 결정이 이성적 판단을 통해 이루어지기 는 하지만, 언제나 합리적 이유에 근거한 판단에 의한 것은 아니다(Hayes & Smith, 2005; Hayes et al., 1999).

여섯째, 전념행동은 가치를 명확하게 하는 과정을 거쳐 가치 지향적인 삶을 시작하는 것이다. 전념행동의 과정은 앞으로 나아갈 수 있는 고통이나 어려움과 같은 가치지향적인 삶의 장애물을 직면하고 극복할 기회를 제공하며, 개인이 자신 스스로 삶의 과정을 결정하게 한다(Hayes et al., 2004). 이렇듯 자신의 가치가 명료화된 후 이에 따른 일관된 행동에 전념 할 수 있도록 구체인 실천으로 옮기는 행위가 전념행동이다. 개인은 가치 지향인 삶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성공하기 위해 노력하기보다는 자신의 가치에 따라 선택을 시도하는 끝없는 과정에서 앞으로 나아갈 것을 선택하는 것이다(Hayes et al., 1999).

살펴본 바와 같이 ACT이론의 핵심은 기능적 맥락주의에 기초하는 것으로 이는 ACT의 6가지 핵심 기제가 서로 연관되어 있으며, 이러한 유기적 맥락 내에서 각각은 서로 지지하고 모든 심리적 유연성을 목표로 한다. 하나의 기제가 활성화될 때 다른 기제와 상호 작용하게 되어 원활하게 기능하게 되면 ACT의 목표인 심리적 유연성에 도달하게 된다(Wilson &DuFrence, 2009).

2. ACT와 가치의 정의

가치와의미의 발견을 주요한 변화기제로 제시하고 있는 치료법으로 의미치료(Logotherapy), 수용전념치료(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변증법 행동치료(Dialectical Behavioral Therapy)가 대표적이다(박세란,이훈진,2012). 이러한 치료 입장들은 내담자의 심리 증상을 완화시키거나 통제하는 대상으로 바라보지 않으며 전체적 맥락 안에서 사람들이 원하는 삶을 살아가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삶의 의미와 가치에 대한 개입은 사람들의 정서적 고통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변화시킴으로써 고통 속에서도 원하는 삶의 방향을 인식하게 하며 가치 있는 행동을 지속 가능하게 한다 (박선영,권석만,2012).

ACT에서 가치는 자유롭게 선택 되어 지는 언어적 구성물로서 역동적이고 지속적인 행동의 패턴이라고 정의하며, 의미있는 행동을 선택하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Wilson& DnFrene,2009). 즉, 가치는 의미감을 느끼는 행동을 장기간에 걸쳐 지속하게 하며 삶의 목적과 방향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ACT에서 말하는 가치는 고정되어 있지 않고 유동적으로 변할 수 있다는 관점을 취하므로 개인이 새로운 경험과 정보에 노출됨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고 본다(Blonna,2011). ACT에서 가치와 전념과정은 사람들이 다양한 영역(가족, 직장, 영성 등) 에서 행동 연습을 하고 삶의 방향을 정할 수 있도록 돕는다. 매순간 목적에 부합된 행동을 선택함으로써 추구하고자 하는 가치의 방향이 명확해지는 것이다(Wilsn& DuFrene,2009).

임상적 관찰을 통해 가치명료화 작업이 활력, 심리적 유연성과 통합감의 향상 등 심리적 건강증진에 기여한다는 가능성이 제시되었다(Hayes,2004;박세란⋅이훈진,2012). 가치명료화는 내재적 동기에서 출발한 자유로운 가치 선택과 그에 부합된 의미 있는 행동을 지속으로 유지하는 것이다. 내재적 동기에서 시작된 행동은 강화 요인으로서 작용을 하며 흥미와 즐거움, 활력 등을 제공한다. 또한 가치는 개인에게 삶의 방향을 안정적으로 제시함으로써 통합감을 증진시키며, 심리적 두려움들을 직면할 목적을 제시해준다. 가치 명료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장애물을 탐색하고 직면하는 과정은 심리적 갈등과의 투쟁으로 소실되었던 에너지를 자유롭게 해줌으로써 심리적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문현미,2006).

반면 가치의 부재는 원치 않는 사적 경험들을 제거하거나 회피하는데 주력하게 만든다. 그 결과 사람들은 삶의 목적과 부합되는 행동을 하지 못함과 동시에 자신들의 삶이 의미가 없다고 호소하거나 고통스럽다고 느끼게 된다. 즉, 가치의 부족은 심리적 경직성을 낳게 되며 가치 있는 삶과의 거리를 발생하게 한다(Dahletal.,2009). 결국 가치의 부재는 삶의 질의 저하와 관계가 있다고 볼 수 있다.

3. 가치 작업 유형

지난 20년간 ACT의 경험적 연구들은 심리적 유연성을 주요 기제로 하여 경험 회피와 관련된 광범위한 심리적 장애에 대한 수용 모듈의 효과성을 입증하였다(Rui z,2010). 그러나 가치와 전념행동에 한 측정과 개입에 대한 경험적 발전은 초기 단계라 할 수 있다.

1) 가치로운 삶 질문지(Valued Living Questionnarie)

Wilson et al.,(2011)은 임상적 변화의 중요한 변인으로서 행동적 과정을 강조하였고, 행동 변화를 민감하게 측정할 수 있는 측정도구를 개발하였다. 행동측면에서의 가치를 정의하면서 수용 전념치료에서 가치 있는 삶을 핵심적인 과정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또한 개인이 가치 있는 삶을 살고자할때 자신이 중요하다고 의미를 두는 영역에 지속으로 노력하는 경향이 있음을 언급하며 이를 가치 있는 삶에 한 기능적 행동 반응이라고 하였다. 이러한 기능적 반응은 가치로운 삶 질문지(Valued Living Questionnarie;이하 VLQ;Wilson& Groom,2002)로 비교적 쉽고 명료하게 측정이 가능하다고 설명하고 있다. VLQ 이외에도 The Chronic Pain Values Inventory(McCracken&Yang,2006)와 같은 특정 상황에 대한 가치 척도들이 개발되었는데, 이러한 현상들은 가치가 심리 기능 측면에서 중요하게 간주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VLQ를 활용한 연구에서 가치로운 삶은 우울, 불안, 대인관계 문제와 같은 심리적 어려움과 부적상관을, 활력, 정신건강, 사회적 적응 등의 심리적 강점과는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Wilsonetal.,2011;박세란⋅이훈진 2012). Dahl, Wilson, & Nilsson(2004)은 스트레스 수준이 높은 공공 건강관리 복지사들이 다른 사람들에 비해 적은 영역들에서 활동하며 전반적으로 협소한 활동범위를 가진다고 하였다. 개인이 생활에서 문제를 경험할 때 활동 범위가 좁아지게 되고 낮은 수준의 가치 있는 삶을 보고한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VLQ는 경험회피와 연관이 있고 심리적 고통(불안, 우울), 정신건강, 삶의 질과 연관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2) 삶의 만족도 척도(Satisfaction with Life Scale: SWLS)

Diener, Emmons, Larsen 과 Griffin(1985)이 개발한 척도로, 전반적인 삶에 대한만족도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질문지가 5문항, 7점 척도로 구성되어 있으면 질문의 내용은 아래에 귀하가 동의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는 다섯 문항이 제시되어 있다. 각 문항에 동의 또는 반대하는 정도에 따라서 1~7 사이의 숫자를 기표하게 하고 자유롭고 솔직하게 응답하기를 원한다. 1-전혀 아니다 2-아니다 3-약간 아니다 4-중간이다 5-약간 그렇다 6-그렇다 7-매우 그렇다 라고 표기하게 하고 각각의 숫자에 대한 정의는 1.전반적으로 나의 인생은 내가 이상적으로 여기는 모습에 가깝다. 2.내 인생의 여건은 아주 좋은 편이다. 3.나는 나의 삶에 만족한다. 4.지금까지 나는 내 인생에서 원하는 중요한 것들이 이루어냈다. 5.다시 태어난다 해도 나는 지금처럼 살아갈 것이다. 응답 범위는 31~35=매우 만족함, 26~30=상당히 만족한, 21~25=약간 만족함, 20=중립 상태, 15~19=약간 불만족함, 10~14=상당히 불만족함, 5~9=매우 만족함으로 기준을 정하여 삶의 만족도 척도를 구하는 방식이다.

3) 삶의 원칙 조사지(Survey of Life Principles, SLP)

가치를 판단하는 포괄적인 도구의 필요성에 의해서 열 가지 가치 군집을 만들어서 문항을 작성(Schwartz &Boehnke, 2004). 하고 정신건강과 특별한 관계가 있어 보이는 대인관계 문항(“진심으로 친한 친구가 있다”. “사랑과 애정이 있는 관계를 맺고 있다”;Braithwaite & Law, 1985)을 추가하고, 체력과 신체적건강, 영적, 종교적원칙(Braithwaite & Law, 1985)과 성에 관한 문항을 추가하고직업과 관련된 상황에서 시행될 수 있는 원칙에 대한 문항을 추가하고, 마지막으로 ACT에서 경험의 회피를 강조하기 때문에 경험 통제 원칙을 반영하여 총13개의 군집으로 조사지를 작성하여 내담자의 가치를 중요성과 실행력 중심으로 삶의 원칙을 조사하게 하였다.

4) 가치 카드 분류 작업

내담자가 자신에게 가장 중요한 원칙이 무엇인지 확인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두꺼운 종이에 가치의 중요성을 기재한 후 내담자로 하여금 어떠한 가치 카드가 본인에게 중요한 것인지를 선택하게 하고 실제 행동에 있어서 내담자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가치대로 행동할 수 있도록 치료하는 작업.

Ⅲ. 연구방법

연구자는 본 연구 과정 중 실제 실행한 가치 작업 유형 중 삶의 원칙조사지 작업을 시행하였다. 가치 작업 중 연구자가 중요하게 생각해 왔던 가치의 중요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실행력이 부족한 부문이 나타났고, 또 반대로 별로 중요하다고 생각하지 않은 가치에 실행력을 집중하는 결과가 나타나면서 연구를 통해 스스로 일상 생활에 있어서 중요성과 실행력을 집중시킬 변화의 필요성을 인지하게 하였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삶의 원칙 조사(SLP)를 선택하게 되었다.

1. 연구 참여자 선정

본 연구의 참여자는 참여자 본인이 단독으로 연구에 참여하게 되었다. 그 이유는 연구에 참여한 참여자는 현재 50대 후반의 소위 말하는 386세대에 해당 하는 사회구성원으로 80년대 후반에 대기업에 입사하여 1997년 IMF 시절에는 그룹의 자금을 책임지는 업무를 수행하였고, 이후 임원이 되면서 그룹의 신규 사업인 항공 사업을 초기에 성공적으로 안착시킨 경험이 있다. 구체적으로 IMF때 국가적 재난에 해당하는 시절에 가장 중요하고 어려운 회사의 자금의 조달과 운영에 관련된 업무를 책임지고 일한 경험이 있다. 또한 그룹의 임원이 된 후 항공 사업과 같은 노동 집약적이고 자본 집약적 사업인 거대하고 리스크가 큰 사업을 초기에 정착시키기 위해 책임자로서 역할을 수행하게 된 경험을 가지고 있다. 입사 후 30년을 대기업에서 근무하면서 주로 중요한 의사결정을 하는 역할을 중심으로 업무를 하면서 퇴직을 하게 되었다. 대기업 근무 시 내담자의 이러한 업무의 영향으로 극심한 직무 스트레스에 의한 심리적 불안 상태를 자주 느낀 경험이 있고, 이런 직무 스트레스를 해결 하고자 전문 코치의 코칭을 받은 경험도 있다. 퇴직 이후 이제는 100세 시대를 맞이하여 평생 직장의 개념보다는 평생 직업을 갖기 위해 지금은 여러 가지 준비를 하고 있다. 이러한 참여자를 본 연구에 단독으로 참여 시킨 부문은 참여자가 가지고 있는 사회적 경험과 대기업 근무시 경험한 사항들이 본 연구의 목적인 급변하는 기술과 경영의 변화에 따른 무한 경쟁에 따른 사회 구성원의 불안한 심리 상태를 수용전념치료의 가치 작업을 통해 개선하고자 하는 연구에 대해 다수의 참여자들 비슷한 경험을 가지고 있다는 전제하에 연구 참여자가 다수의 연구 참여자의 경험과 문제점에 대해 대표할 수 있다고 판단하여 단독 연구자로 선정하였다. 또한 단독 연구자의 참여를 통해 좀 더 구체적인 가치 작업을 통해 목표의 설정과 실행방안의 수립, 목표 실행 결과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자 한다.

2. 삶의 원칙 조사지 구성 요소 및 검사 방법

삶의 원칙 조사지의 문항은 초기에 10가지 문항으로 작성되었고(표 1 참조; Schwartz & Boehnke,2004)문항의 구체적인 내용은 로케아트(Rokeach, 1973)와 슈바르츠와빌스키의 연구(Schwartz &Bilsky, 1985)에서 자져 와서 작성하였다. 10가지 문항 외에도 정신건강과 특별한 관계가 있어 보이는 대인관계 문항(“진심으로 친한 친구가 있다”,”사랑과 애정이 있는 관계를 맺고 있다”; Braithwaite & Law, 1985)을 추가하고, 체력과 신체적 건강, 영적, 종교적 원칙(Braithwaite & Law, 1985)과 성에 관한 문항도 추가 하였다. 또한, 직업과 관련된 상황에서 시행될 수 있는 원칙에 대한 문항도 추가하였다.(Rottinghaus, Coon, Gaffey&Zytowski, 2007; Savickas, Taber, & Spokane, 2002).를 마지막으로 ACT에서 경험의 회피를 강조하기 때문에 경험 통제 원칙을 반영하는 세 개의 문항을 추가하였다. 관련된 가치의 군집과 이에 대응하는 문항은 부록에 첨부하였다.

조사 군집의 항목들을 질문지에 9점 척도로 질문하여 가치의 중요성을 확인하는 절차를 시행한다. 연구에 의하면 가치는 몇 가지 차원에 걸쳐 평가 할 수 있다.(Emmons, 1991, 1996; Rokeach, 1973; Schwartz &Bilsky, 1987; Sheldon &Kasser, 1995, 2001). 원칙에는 원칙에 대한 개인적 중요도, 원칙을 고수해야 한다는 압박, 원칙 지키기를 생활에서 성공하는 것 등에 대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원칙에 대한 개인적 중요도, 원칙 지키기를 생활에서 성공하는 것에 대한 질문을 실행하였다. 질문지를 통해서 얻어진 결과는 SLP의 원칙 군집별로 각각 합산하여 군집별 문항수로 나누어서 평균값을 도출하였다. 질문의 내용과 양식은 부록에 첨부하였다.

3. 자료 분석 및 해석

위와 같은 방법으로 도출된 항목은 SLP 군집별 항목과 같은 13가지 항목 중 직업 관련 원칙을 제외한 12가지 항목의 평균값을 도출 하였고 주요 군집별 항목으로 가장 큰 수치부터 5가지 군집으로 도출하였다.

참여자가 느끼는 가치의 중요성 점수와 실행 성공여부의 점수가 사믓 다른 결과가 도출되었다. 상대 중요 항목을 살펴볼 때 중요성 순위에 있어서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가치는 신체활동과 건강, 안전, 쾌락주의, 경험 통제 원칙, 보편주의 순으로 가치의 중요성에 대해서 도출하였지만, 실질적인 가치의 실행 성공 여부의 순위는 경험 통제 원칙, 안전, 신체활동과 건강, 쾌락주의, 관계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업적 성향에 있어서도 중요성과 실질적인 실행 성공 여부의 직업 즉, 현실적으로 생활하고 영위하고 있는 직업적 성향도 다르게 나타났다. 가치 중요성에 대한 직업의 순위는 탐구적 직업, 예술적 직업, 사회적 직업. 진취적 직업. 실용적 직업, 관습적 직업순 으로 중요성을 인식하였으나 실행 성공 여부의 직업 성향은 사회적 직업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탐구적 직업, 실용적 직업, 관습적 직업, 예술적 직업, 진취적 직업 순으로 결과가 도출되었다.

표1. SLP 가치 중요도와 실행 성공도 결과

http://dam.zipot.com:8080/sites/mpca/images/mpca_21_03_image/Table_mpca_21_03_T1.png

표 2. SLP 직업관련 중요도와 실행 성공도

http://dam.zipot.com:8080/sites/mpca/images/mpca_21_03_image/Table_mpca_21_03_T2.png

Ⅳ. 연구결과

1. 가치 탐색

SLP에 대한 초기 연구는 내담자들의 반응을 4가지의 총점으로 환원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Stefanic & Ciarrochi, 2008; Frearson & Ciarrochi, 2008). 표 4.는 그 점수와 표준화된 자료를 제시하고 있다. 초기연구는 사람들이 (1)삶의 원칙이 중요하다는 것을 발견할 때 (2) 원칙을 지켜야 하는 것에 대해서 압박감을 낮게 느낄 때 (3) 많은 원칙들을 실행에 옮겨보려고 시도할 때 (4) 실행에 옮긴 것들이 성공할 때 최고의 행복감을 경험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시사해 준다. 아래의 표 3.는 300명의 대학생 표본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더 나은 규준이 개발될 때까지 대략적인 지침으로 사용되어야 한다.

삶의 조사원칙연구결과의 지표에서 나타난 결과를 표 3. 삶의 원칙 조사 총점에서 볼 때 내담자는 가치의 중요도에 순위 5가지 군집의 평균이 7.8 ~ 8.3 까지 분표 되있는 것으로 볼 때 가치 중요도의 점수는 상당히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상대적으로 실행 성공도는 삶의 원칙 조사 총점의 평균값을 접근해 있는 것을 알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참여자가 느끼는 가치의 중요성이나 실행에서의 중요성이 평균이상이라 판단하고, 이후 연구 결과는 참여자가 느끼는 중요한 가치의 목표와 실행방안 그리고 실행 결과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표 3. 삶의 원칙 조사 총점

http://dam.zipot.com:8080/sites/mpca/images/mpca_21_03_image/Table_mpca_21_03_T3.png

2. 가치의 현실적 목표

1) 신체활동과 건강

참여자는 오랫동안 정기적인 운동과 규칙적인 생활을 꾸준히 지켜왔다. 그러나 최근 몇년 사이 늦게 시작한 학위 과정에 대한 부담과 실제로 이른 아침에 학업을 준비하는 시간을 갖다보니 오랫동안 규칙적으로 실행해 왔던 아침운동을 충실히 수행할 수 없었다. 그로 인해 전체적인 하루의 균형이 깨지기 시작했고 규칙적이고 안정적인 생활에 균형이 무너지면서 신체활동과 건강관리를 소홀하게 되었다. 그 결과로 삶의 중요도 원칙 조사에서 나타났듯이 신체활동과 건강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면서도 실행 성공도 그 중요도에 비해 낮은 점수가 나타났다. 현재는 학위과정에 대한 부담도 많이 줄어들었고 예전 같지 않지만 전체적인 생활의 균형도 어느 정도 안정화 단계로 돌아온 만큼 일주에 3일~4일 정도는 늘 아침 운동을 실행하기와 1주일에 한번 이상 서울 근교에 있는 북한산을 등반하는 것으로 목표를 설정했다. 건강에 관한 목표도 년 1회 정기적으로 건강 검진을 실시해서 사전에 건강에 대해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목표를 설정하였다.

2) 안전

참여자는 30년 동안 대기업에서 종사한 경험자로서 주로 CFO, CIO, CEO의 역할을 수행했던 관리자로서 기업 운영에 실질적인 책임을 지는 역할을 오랫동안 생활한 경험으로 볼 때, 기업 운영의 전반적인 재무리스크, 환경적인 리스크 등과 같은 안전적인 요인들을 상당히 중요하게 인식하고 생활해 왔다. 삶의 중요도 원칙 조사에서도 그러한 이유 때문에 중요도와 실행 성공도 점수가 높게 나타난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원만한 대인관계를 유지하기 위해서 직원들이나 거래관계가 있는 사람들과의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서 늘 신뢰중심의 관계를 중요하게 생각하면서 그들과의 좋은 관계만큼 안정적인 보호 내지는 유지를 중요하게 생각했다. 특히 상대방에게서 호의를 받는 경우에는 잊지 않고 반드시 보답하거나 직원들의 성과에 대해 반드시 보상하는 것을 원칙으로 기업 경영에 충실히 실행해 왔다. 이러한 보안의 가치가 중요한 만큼 늘 생활에 있어서 가족뿐만 아니라 친분 관계에 있는 이해관계자들과도 지속적인 안부 사항을 확인하는 것을 생활화 하면서 정기적으로 안부 전화하기, 명절 또는 기념일에 감사카드 보내기, 가정에서의 가스 및 화재에 대한 정기적 점검하기등과 같은 목표를 세웠다.

3) 쾌락주의

참여자는 평소 외향적이며 활동적인 성격의 소요자로 늘 운동과 함께 건강하고 즐거운 생활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생활화하면서 실천해 왔다. 특히 가족들과의 모임이나 친구들과의 모임에 있어서도 늘 여유있고 유머러스한 대화나 분위기를 만들면서 즐겁고 재미있게 생활하는 가치를 중요하게 생각했다. 30년 직장생활에 있어서도 중요한 업무를 수행할 때 가장 중요한 가치는 과연 이 업무나 일이 나에게 제공하는 “재미”가 있는가가 가장 중요한 의사결정 사항으로 여기면서 늘 즐거운 재미있는 생활을 실행하였다. 지금도 재미있고 즐거운 생활을 위해서 정기적인 동호회 모임의 참석이나 정기적인 운동모임을 통해서 반드시 재미있고 즐거운 시간을 보내고 다른 일정이 없으면 가급적 맛있는 식사자리에 참석해서 즐거운 담소를 나누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여유롭고 즐거운 생활을 위해서 한달에 한번 이상 동호회 참석하여 운동하고 식사하기, 점심 식사를 일주일에 한번 이상을 친구들과 식사를 같이하기, 한달에 한번이상 맛집 탐방하기를 목표로 설정하였다.

4) 경험통제 원칙

내담자는 오랜 직장생활 중 의사결정이 매우 중요하고 어려운 업무를 담당하면서 주로 신규사업 론칭이나 사업구조조정, 자금조달, 조직개편 등과 같은 직무 스트레스가 과다한 업무를 수행하였다. 그에 따라 외적으로는 잘 나타나지 않았지만 내적으로는 과중한 직무스트레스인한 내상이 어느 존재하면서 그 후유증으로 늘 불안하고 답답한 사회생활을 영위하였다. 그러면서 이러한 답답한 직장생활의 변화를 갈구하던 중, 기업체 임원들을 대상으로 하는 코칭의 멘토를 만나게 되면서 명상을 접하게 되었다. 2년 정도의 개인 코칭을 통한 명상시간을 통해 점차 내담자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내상이 아물면서 모든 부문에 대한 감사하는 마음이 생기기 시작했고 점차적으로 개인적인 안정감 뿐 아니라 회사의 지도자로써 업무적 성과도 눈에 띄게 변화되면서 성장했다. 이러한 명상의 효과를 느낀 내담자는 그 이후부터 직장이나 가정에서 명상을 효과를 느끼면서 명상에 대한 이론적 공부와 정기적인 명상하기 실천사항을 수립하면서, 현재는 서울 근교의 선원에서 운영하는 명상 상담 지도자 과정 이수와 대학원 명상 심리 박사학위의 취득을 목표로 설정 하였다.

5) 보편주의

내담자는 현재 30년간의 직장생활을 마치고 현재는 평생 직장이 아닌 평생 직업을 얻기 위해 준비하고 있다. 시간적 여유와 더불어 풍요로운 삶을 영위하는 갈망이 큰 만큼 거주 지역도 복잡한 도시를 벗어나 자연과 더불어 살아 갈 수 있는 곳으로 이전을 생각하고 있고, 그동안 직장생활의 경험을 통해 얻어진 경험적 지식과 노하우를 필요로 하는 여러 사람들과 공유코자 노력하고 있다. 그에 따른 구체적 실행 방안은, 친 자연적인 주거 생활 확보, 1주일에 한번 이상 강의하기, 한 달에 한번 장애아동 봉사활동 참석을 목표로 설정하였다.

3. 가치 전념행동

1) 신체활동과 건강

신체활동과 건강에 대한 구체적인 행동방안은 예전처럼 매일 새벽 5시에 주거지 인근에서 달리기를 1시간 이상 달리는 것과 마라톤 동호회 활동을 다시 시작하여 전문가들의 코치를 받으면서 아침 운동을 시작하기로 했다. 아침운동의 중요성은 내담자의 경우 오랫동안 아침형 인간으로 생활하면서 하루를 시작하는 새벽에 운동을 하면서 하루의 시작을 활기차고 즐겁게 생활 한 경험이 있으므로 이 실행 방안을 통해서 신체활동과 건강의 중요성을 다시 인식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신체활동에 대한 또 하나의 목표인 등산은 매주 토요일 또는 일요일 9시에서 14시까지 북한산 등산을 가급적 가까운 친구들이나 가족들과 등산을 하는 것을 행동방안으로 설정하였다. 건강에 관한 행동방안은 현재 거주하고 있는 거주지의 종합병원에서 매년 5월~7월 사이 정기 건강 검진을 받는 것으로 건강에 행동방안을 설정하였다.

2) 안전

안전에 대한 행동 방안은 매주 1회 이상 가족들이나 친구들, 직장동료들에게 전화나 이메일로 안부전화를 하고 있으며, 더 중요한 이해 관계자들과는 한달에 한번 이상 직접 만나서 안부를 확인하는 만남을 시행하고 있다. 또한 가정에서는 취침 전 문단속 확인, 가스 점검 확인을 반드시 시행하는 등 안전에 관련된 사항들을 실제 생활 현장에서 실천하고 있다.

3) 쾌락주의

여유롭고 즐거운 생활을 위해서 한달에 한번 매월 세번째 주 수요일에 대학원 골프동호회 참석하여 운동하고 저녁식사를 하면서 회원들과의 친교를 위한 만남을 시행하고 있다. 또한 일주일에 한번 이상을 고향 친구들과의 모임을 갖고 있고, 더블어 대학동기들과 식사를 매달 두 번째 수요일에 여의도에서 같이하면서 서로 필요한 정보와 안부를 확인하고 있다. 모임에서 맛집에 대한 정보를 교환하고 한달에 한번이상 맛집 탐방하면서 오감의 즐거움도 만끽하고 있다.

4) 경험통제 원칙

내담자의 심리적 안정과 자신에 대한 자애심 고취를 위한 구체적인 실천 사항은 매일 아침 5시에 한시간씩 명상하기와 명상관련 교육을 매월 첫째주 토,일에 교육 참석하여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역량을 확보하고자 한다, 또한 이러한 전문역량을 좀 더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대학원 명상 심리 박사과정을 등록하여 박사 학위 취득을 목적으로 매주 목요일에 등교를 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행동 방안을 시행하고 있다.

5) 보편주의

내담자의 풍요롭고 자유로운 생활환경을 조성하고 위해 최근에 주거지를 복잡하고 시끄러운 도시를 벗어나서 가급적 친자연적 생활환경에서 안정적이고 여유있는 생활을 위해서 주거의 이전을 실행하였다. 또한 그동안의 직장생활에서 얻은 전문적이고 특화된 경험과 지식을 종합대학교 경영대학원에 초빙교수로 임용하여 후배들에게 지식을 전수하고 있다. 내적으로 풍요로운 마음을 갖추기 위해 늘 감사하는 마음으로 구로동에 있는 「브니엘의 집」에서 장애우들과 같이 즐거운 시간을 보내는 봉사의 시간도 실행하고 있다.

4. 가치 행동 실행 결과

1) 신체활동과 건강

풍요롭고 활기있는 생활을 목적으로 건강한 신체활동이 가장 기본적인 사항이라 생각하고 구체적인 목표와 실행방안을 설정하고 실제 실행한 결과 그동안 정기적인 달리기 운동을 못하면서 5kg 늘어난 체중이 다시 정상적으로 돌아왔고 새벽에 운동을 하기 위해서는 저녁 늦게까지 식사나 음주를 할 수 없으므로 일찍 귀가하고 일찍 취침을 하는 좋은 습관도 다시 찾았다. 아침 일찍 운동을 시작으로 하루를 시작하다 보니 하루의 시간이 충분히 여유롭게 생각되었고 그로인해 할 수 있는 일과 시간이 많아져서 한결 여유로운 시간을 보내면서 정신적 육체적으로 안정을 찾게 되었다.

2) 안전

직장에서 같이 근무하던 동료들과의 정기적인 만남을 시행하면서 이제는 업무를 떠나 개인적인 자유로운 대화를 하다 보니 그전보다 더 각별한 감정이 생겨서 더 친하게 지내게 되었고 더 자주 만남을 갖게 되었다. 안전에 대한 실행방안중 가정의 취침 전 문단속 확인 및 가스 확인들을 시행하면서 내담자뿐 아니라 가족 모두가 안전을 확인하는 공동체의식을 갖게 되어 또 다른 효과를 얻게 되었다.

3) 쾌락주의

직장 동료들과의 정기적인 만남뿐 아니라 대학원 동기들과의 정기적인 운동과 식사시간을 갖으면서 서로에 대한 관심과 정보를 교환하다 보니 고급의 정보를 얻게 되어 재취업을 하는 동기도 생기고 새로운 프로젝트를 소개받아 새로운 업무를 하는 동기들이 생기면서 친교유지뿐 아니라 생업에도 서로 도움을 주는 관계로 발전하게 되면서 점점 유익하고 도움이 되는 모임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대학 동기들의 정기적인 만남은 아직도 현업에서 투자와 관련된 사업을 하는 친구들이 있다 보니 주식이나 금융과 관련된 투자 자산에 대한를 정보도 얻게되어 개인적으로 많은 도움이 되는 모임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아울러 만남의 횟수도 점점 늘게 되고 그에 따라 맛집을 순방하는 계획도 수립하고 찾아다니는 과정으로 진화되었다.

4) 경험통제 원칙

내담자의 정신적인 안정을 추구하고 활력있는 생활을 목적으로 한 새벽 명상은 과히 기적과도 같은 경험을 얻게 되었다. 늘 지금 이시간에 여기에 집중하면서 과거에 대한 상처에 대한 아픔이나 미래 볼완전한 상태에 대한 불안감 때문에 힘들어 했던 경험이 명상을 통해 늘 감사하고 행복해하고 현실에 만족하는 여유롭고 안정된 심리상태를 유지하게 되었다.이러한 경험을 내담자 혼자 경험하기에는 너무 아깝다는 생각에 가족들과 주위의 친구들에게 명상의 중요성과 방법에 대해 전달하여 그 효과성에 대해 함께 공유하는 유익한 시간도 경험하게 되었다. 아울러 좀더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명상의 역량을 확보하고자 시행했던 명상 심리학 박사학위와 상담 심리사과정은 앞으로 1년정도 정진한다면 학위의 취득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5) 보편주의

좀 더 자연친화적인 주거 환경을 통해 정신적 육체적으로 안정되고 풍요로운 삶을 영위하고자 거주지의 이전을 검토하면서 실제 금년에 서울 근교의 국립공원 근처로 이전하였다. 저녁에는 바람결에 흔들리는 나뭇잎 소리를 자장가 삼아 잠이 들고 아침에는 귀엽고 아름다운 새소리에 기상을 하는 친 자연적인 환경으로 주거지를 옮기고 나니 명상을 하는데도 집중이 잘되고 독서를 하거나 음악을 들을 때도 한결 집중할 수 있어서 너무 고맙고 감사한 마음이 들게 되었다. 경영대학원에서의 강의는 학생들에게 내담자의 경험과 지식을 전달하기 위해 시행하게 되었지만 정작 내담자의 지식을 재정리하고 점 더 보완이 되는 좋은 경험을 하게 되었다. 실질적으로 강의를 통해 지식과 경험을 전달하다 보면 내담자가 더 많은 공부를 하게 되고 자료를 만들면서 새로운 지식을 접하게 되는 유익한 시간을 경험하게 되었다. 또한 장애우들과 만나서 즐겁게 함께하는 정기적인 봉사의 시간을 통해 건강한 내 자신에게 감사하는 마음을 더 갖게 되었고 이제는 우리 가족이 함께 하는 봉사활동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Ⅳ. 결론 및 논의

본 연구의 결과에서 보듯 사례에서 나타난 가치의 중요성에 대한 부문과 실행 성공 여부는 상이한 결과가 도출 되므로써 중요성과 실행 성공 여부를 일치시켜서 좀 더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가치의 실현을 위해서 각각의 가치에 대한 방향과 목표 및 실천사항에 대해 언급 하면서 가치에 에 대한 목표와 그에 따른 계획을 실행하고자 할 때 공통적으로 필요한 개선이 필요함을 느끼면서 구체적인 개선사항에 대한 제안코자 한다.

1. 습관의 개선

SLP결과에서 나타났듯이 가치의 중요성은 인식하면서중실행여부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난 것에 대해서는 실행 성공 여부의 결과에 앞서 그러한 가치를 실행할 수 있는 좋은 환경과 좋은 습관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좋은 습관을 생활화하면서 오랫동안 가치의 중요성과 그에 대한 목표의 실천을 지속적으로 가져갈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2. 강점의 강화

가치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그에 따른 실행에 있어 여러 가지 난관이 예상되지만, 이러한 난관을 극복하고 좋은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스스로 잘하고 있고 잘 할수 있다는 자신감을 갖는 것이 가치를 지속적으로 실행하기 위해서 또한 중요한 사항이라 생각된다. 그에 따른 구체적 사항은 내담자만이 가지고 있는 사회적 경험과 전문성과 같은 강점을 최대한 인식하고 활용하므로서 가치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그 목표를 실행하는데 중요한 사항이라 생각한다.

본 연구는 현대사회가 점점 복잡해지고 변화의 속도가 가속되는 상황에서 현대를 살아가는 사회구성원들이 복잡한 사회 여건에 대한 적응과 미래 불확실성에 따른 불안감이 가증되면서 심리적 상태가 점점 불안정한 상태로 빠져드는 상황 하에서 스스로의 심리상태를 인지하고,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하고자 하는 차원에서 연구가 시작되었고, 그 중 인지치료의 가장 중요한 모델이 되고 있는 ACT를 통해서 전반적인 이해와 이론적 배경, 가치의 중요성, 가치의 명료화 등을 알아보았고 마지막으로 사례를 통해 가치 작업의 결과를 알아보았다. 사례를 중심으로 가치 개념 작업를 통해 중요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족한 실행력에 대해 알아보았고, 실행력 실행방안에 대해서도 구체적으로 계획을 수립하므로서 평소에 막연히 생각만 해왔던 참여자의 가치를 구체적으로 명료화 시키고 삶의 개선 방안을 수립하게 된 점에 대해 나름대로 의미가 있었던 연구라 생각된다. 또한 ACT에서 가치가 차지하는 중요도와 실질적인 전반적인 점수의 도출과 그에 따른 해석을 마무리로 가치 작업에 대한 전반적인 흐름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한다. 앞으로 연구 참여자를 개인뿐만 아니라 유사한 집단의 소속원들 에게도 다양한 결과 나타나리라 예상하면서 향후 이러한 부문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어지기를 소망한다.

국문초록

본 논문의 목적은 최근 검증된 인지행동치료의 일환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ACT(수용전념)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구체적인 가치작업을 통해 가치의 목표과 구체적인 실행방안과 실행의 결과를 통해 사회 구성원 스스로 이러한 복잡한 경쟁사회에서 벗어나 심리적 유연성을 확보하고 좀 더 풍요롭고 여유있는 삶의 영위를 목적으로 연구하게 되었다. 연구방법은 ACT의 6가지중 가치를 선택하고 연구 참여자를 삶의 원칙 조사지(SLP)를 통해 구체적인 가치의 중요성의 인식과 그에 따른 실행방안에 대해 현상을 알아보고 실제적 상황에서 중요성과 실행방안의 차이에 대한 분석을 통해 구체적인 가치의 목표의 설정과 실행방안의 수립, 실행 결과를 도출하는 방향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는 ACT에서의 가치 작업을 통해 참여자 스스로 느꼈던 가치의 중요성이 신체활동과 건강, 안전, 쾌락주의, 경험 통제 원칙, 보편주의 순으로 중요성이 인식되었지만, 실제 생활에서의 실행력 중심의 가치의 순서는 안전이 가장 높은 실행력을 보였고 신체활동과 건강, 쾌락주의, 경험 통제의 원칙, 보편주의 순으로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의 결론은 실질적인 사례를 ACT의 가치 작업를 통해 중요성과 실행력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본 논문은 개인적인 사례를 중심으로 연구하였지만 공통된 사회적 직업이나 지위에 있는 단체의 사례를 연구하여 집단구성원들이 느끼는 가치에 대한 중요성과 실질적인 실행력의 차이를 분석하는 집단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소망 한다.

주제어

ACT, ACT와 가치, 가치작업, 가치작업 유형, 사례.

References

1  김채순 (2012). 수용전념 및 인지행동 심리치료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우울증, 심리적 수용 및 자기통제에 미치는 영향. 창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  문현미 (2006). 심리적 수용 촉진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수용-전념 치료 모델을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  박선영,권석만 (2012) .삶의 의미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임상적 함의. 한국심리학회지:일반,31(3) ,741-768. 

4  박세란,이훈진 ( 2012). ACT 기반 가치탐색 집단 프로그램의 효과연구. 인지 행동치료, 12(1), 1-20 

5  유춘자 (2017). 가치중심의 수용전념치료가 청소년 자살생각 감소에 미치는 효과.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  Biglan, A., & Hayes, S. C. (1997). Should the behavioral sciences become more pragmatic? The case for functional contextualism in research on human behavior. Applied and preventive Psychology: Current Scientific perspectives, 5, 47-57. 

7  Blonna, Richard. (2011). Maximize your coaching effectiveness with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New Harbinger Publications 

8  Braithwaite, V. A., & Law, H. G. (1985). Structure of human values: Twsting The adequacy of the Rokeach value survey. Journal of Personality & Social Psychology, 43, 250-263 

9  Ciarrochi, J., & Bailey, A. (2008). A CBT practitioner's guide to ACT: How to bridge the gap between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and acceptance & commitment therapy. Newly Harbinger Publications. 

10  Dahl , JoAnne, Lundgren, Tobias, Plumb, Jennifer, & Stewart, Ian. (2009) . The Art and Science of Valuing in Psychotherapy: Helping Clients Discover, Explore, and Commit to Valued Action Using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New Harbinger Publications. 

11  Dahl, JoAnne, Wilson, Kelly G, & Nilsson, Annika.(2004).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and the treatment of persons at risk for long-term disability resulting from stress and pain symptoms :A preliminary randomized trial. Behavior Therapy, 35(4),785-801 

12  Emmons, R. A. (1991). Personal strivings, daily life events, and psychological And physical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59(3), 453-472. 

13  Frearson & Ciarrochi (2008). The link between life principles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socal support. Unpublished data, University of Woll-Ongong, NSW, Australia. 

14  Hayes, S. C., Wilson, E. V., Gifford, V. M., Strosahl, K. (1996). Experiential avoidance and behavioral disorders: A functional dimensional approach to diagnosis and treatment.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64, 1152–1168 

15  Hayes, S. C., Strosahl, K. D., Wilson, K. G. (2012).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 an experiential approach to behavior change. Guilford Press, New York. 

16  Hayes, S. C., Barnes-Holmes, D., Roche, B. (2001). Relational frame theory: A post - skinnerian account of human language and cognition. Kluwer Academic/Plenum, New York. 

17  Hayes, S. C., & Smith, S. (2005). 마음에서 빠져나와 삶 속으로 들어가라.(Get Out Your Mind & Into Your Life). 문현미, 민병배 역. 서울: 학지사. 

18  Hayes, S. C., Strosahl, K. D., & Wilson, K. G.(1999).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An experiential approach to behavior change. New York: Guilford. 

19  Kenny, A., & Bizumic, B. (2016). Learn and ACT: Changing prejudice towards people with mental illness using stigma reduction interventions. Journal of Contextual Behavioral Science, 5(3), 178–185. 

20  Luoma, J. B., Hayes, S. C., Walser, R. D. (2007). Learning ACT: an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skills - training manual for therapists. New Harbinger; Reno, NV: Context Press, Oakland, CA. 

21  McCracken, L. M., & Yang, S. -Y.(2006) .The role of values in a contextual cognitive-behavioral approach to chronic pain. Pain, 123(1) ,137-145. 

22  Rokeach, M. (1973). The nature of human values. New York: Free Press. Rottinghaus, P. J., Coon, K. L., Gaffey, A. R., & Zytowski, D. G. (2007). Thirty year stability and predictive validity of vocational interests.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15, 5-22. 

23  Ruiz, Francisco J. (2010). A review of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ACT) empirical evidence: Correlational, experimental psychopathology, component and outcome studies.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logy and Psychological Therapy, 10(1) ,125-162. 

24  Savickas, M. L., Taber, B. J., & Spokane, A. R. (2002). Convergent and disctiminant validity of five interest inventorie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61, 139-184. 

25  Schwartz, S. H., & Bilsky, W (1987). Toward a universal psychological structure of Human valu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3, 550-562. 

26  Schwartz, S. H., & Boehnke, K. (2004). Evaluating the structure of human values wit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38, 230-255. 

27  Sheldon, K. M., & Kasser, T. (1995). Coherence and congruence: Two aspects of Personality integr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8(3), 531-543 

28  Sheldon, K. M., & Kasser, T. (2001). Getting older, getting better? Personal strvings and psychological maturity across the life span. Developmental Psychology, 37(4), 491-501. 

29  Stefanic, N. & Ciarrochi, J. (2008). Factorial structure of the Survey of Life Principles and its link to emotional and psychological well-being. Unpubished data, University of Wollongong, NSW; Australia. 

30  Wilson, Kelly G, Sandoz, Emily K Kitchens, Jennifer, & Roberts, Miguel. (2011). The Valued Living Questionnaire: Defining and measuring valued action within a behavioral framework. The Psychological Record, 60(2), 4. 

31  Wilson, K., & Groom, J.(2002). The valued living questionnaire. Disponible sobre petición al primer autor: Mississippi, EEUU: Department of Psychology, University of Mississipp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