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of Meditation based Psychological Counseling (J Medit Psychol Couns)
Indexed in KCI
OPEN ACCESS, PEER REVIEWED
pISSN 2289-0823
eISSN 2671-6119

Manuscript Preparation Guidelines

1. 논문의 체제: “제목, 저자, 초록(영문), 본문, 참고 문헌, 초록(한글)”의 순서로 작성한다. 한국어 논문에는 맨 끝에 영문 초록을 첨부하고, 영어 논문은 한글 초록을 끝에 첨부한다.

2. 제목의 표기: 주제목만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부제를 쓸 때는 주제목에 이어지는 부분에 줄표(-)를 쓴다. *제목 표기 예시: 명상심리상담 표기 방법 연구-참고문헌을 중심으로

3. 저자의 표기: 저자의 소속과 직책, 이메일을 각주로 표시한다. 공동 저작의 경우에 주저자(제1저자, 교신저자)를 소속 앞에 표기한다.

*단독 논문의 저자 표기 예시:
1) 명상심리대학교, kj12@lac.edu

*공동 논문의 저자 표기 예시:
1) 제1저자, 대한대학교, abcd12@daehan.ac.kr
2) 교신저자, 민국대학교, efg@minguk.edu
3) 공동저자, 상담대학교, hi2017@edu.ac.kr

4. 목차의 표기: 목차의 기호는 “I. 1. 1) (1)”로 표기한다. 3단계 이내를 원칙으로 하고, 4단계를 쓸 때는 “① ② ③”으로 쓴다.

5. 본문의 작성: 기호는 목차의 것과 같이 한다. 인용문의 경우 출처 표기는 각주를 사용하지 않는다. 본문 내에 저자(연도: 쪽수) 또는 (저자, 연도: 쪽수) 등으로 내주를 쓴다.

*내주 표기 예시: 홍길동(2013: 37) 또는 (홍길동, 2013: 37-43)

6. 참고문헌의 표기: 동양서, 서양서, 웹사이트의 순서로 쓰고, 정렬 순서는 저자 이름 순으로 한다. 학술지 논문은 “저자(연도). 논문제목. 논문집, 권(호), 시작쪽-끝쪽.”으로 표기한다. 저서는 “저자(연도). 책제목, 출판사.”로 적는다. 책 제목은 이탤릭이 아닌 정체로 쓴다. 각 요소는 반점(,)으로 구분하고, 연도 뒤와 약어 뒤, 끝에 온점(.)을 쓴다.

* 한국어 문헌 표기 예시: 김철수, 이철수(2015). 명상심리상담 논문의 표기법. 명상심리상담, 9(1), 한국명상심리상담학회, 56-80.

* 영어 문헌 표기 예시: Hong, Gildong (1991). History and the Issue of Korean Meditation. Journal of Meditation based Psychological Counseling, 20(2), 40-50.

* 사용 제한(다음의 것 사용 않음): 가운뎃점(·), 물결표시(~), 낫표&겹낫표(「 」,『 』), 권/호 표기(권, 호, 집), 쪽 표기(쪽, 면 p, pp)

7. 초록의 작성: 초록은 제목, 저자(소속), 요약문, 주제어로 구성하되, 한글과 영문 버전으로 작성한다. 요약문에는 연구의 목적, 대상, 방법이나 절차, 결과를 빠짐없이 쓰고, 주제어는 5-6개로 적는다. 요약문의 분량은 한글 기준 400-600자, 3-4개 문단으로 한다. 요약문과 주제어는 한글과 영문 버전의 내용이 같게 한다.

8. 개인 정보 삭제: 심사용 논문에는 저자의 이름, 소속, 이메일, 전화 등 일체의 정보를 표기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