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위원장

이필원(동국대학교)

편집위원

김동한(한국명상심리상담교육원)

김창중(동양대학교)

오윤경(마산대학교)

이영순(동방대학원대학교)

정준영(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정진(우송정보대학교)

문진건(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최은영(금강대학교)

정문주(원광대학교)

논문 투고규정

I. 명상 상담, 심리, 사례 논문의 경우

1. 일반적 사항
①게재를 위하여 투고하는 원고를 컴퓨터로 작성하며, ‘글’로 작성하는 것을 표준으로 한다.
②글씨체는 바탕체를 사용하며 크기는 10pt로 한다. 
③원고는 A4용지(210×297mm)에 줄간격(160%)로 작성하며, 총 페이지 수는 20페이지를 넘지 않아야 한다.
④ 원고의 여백 주기는 위쪽 30mm, 아래쪽 25mm, 왼쪽 25mm, 오른쪽 25mm로 작성하며, 각 페이지에는 페이지 번호를 부여한다.
⑤ 원고는 온라인으로만 제출하며, 온라인 논문투고는 http://kma.medicallove.com에 접속하여 투고한다.

2. 사용 언어 및 표기 원칙
①원고는 한글 및 영문으로 작성할 수 있다.
②한글 원고에서 학술 용어는 원칙적으로 한국 심리학계 표준 용어에 준하여 한글로 표기하며, 혼동의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 한하여 한자를 괄호 안에 넣고, 번역이 곤란할 때에만 영문을 사용한다. 
③약자의 무분별한 사용을 금한다. 표준화된 약자만을 허용하며, 제목이나 요약에 약자를 쓰지 않는다.
④ 인명, 지명, 고유 명사는 원자(原字)를 사용하며, 숫자는 아라비아 숫자를 사용한다. 혈액학적 수치와 임상 검사상의 검사치는 통상적인 단위나 국제단위(International Unit, SI)를 사용한다. 단위의 약어는 국제적인 관례를 따른다. 

3. 원고작성 요령
원고는 겉표지 부분과 본문 부분으로 나누어 작성한다.

1) 겉표지 작성요령
①제1저자와 교신저자 및 공동저자를 구분하여 표기한다. 첫 번째 표기되는 저자가 제 1저자이며, 공동저자는 그 다음에 표기한다.
②전체저자의 성명, 소속, 직위를 기재한다(국문, 영문 병행 표기).
③교신저자의 성명, 소속, 직위, 직장주소, 우편번호, 전화번호, E-mail 주소 등을 국문과 영문으로 표기한다(국문, 영문 병행 표기). 
④연구비 지원, 그 외 이해관계(conflict of interest)에 대하여 국문과 영문으로 기재한다.

2) 본문 작성요령
본문은 다음의 순서로 기재하며, 영문초록, 본문, 참고문헌, 표 혹은 그림의 순으로 하고, 각각은 별도의 페이지로 한다.

■ 논문의 구성

(1) 논문 제목 (Title) 
제목은 논문의 목적을 요약 정리할 수 있는 최소한의 단어로 명확하게 작성하되, ‘무엇에 대한 연구’ 또는 ‘무엇에 대한 고찰’이란 표현은 하지 않도록 한다.

(3) 초록(Abstract)
① 한글 원고에는 영문초록을, 영문 원고에는 한글 초록을 추가로 작성한다. 
② 영어 250단어 이내로 Purpose, Methods, Results, Conclusion으로 구분하여 간결하게 한 문단으로 작성한다.
③ 초록이 길면 반려될 수 있으므로 주의를 요한다.

(4) 핵심어(Key words)
핵심어는 명상과 심리 관련 5단어로 사용하여 국문과 영문으로 표기하며, 영문은 초록 하단에, 국문은 논문제목 상단에 표기한다.

(5) 서론(Introduction)
① 논문의 목적과 중요성을 기술한다. 연구의 배경과 필요성을 요약하고 참고문헌은 직접 관련된 최근의 것으로 제한한다. 
② 관련된 주제를 광범위하게 재론하거나 나열하지 말고, 발표할 결과나 결론을 포함 시키지 않도록 한다.

(6) 연구방법(Methods) 
① 연구 고안 방법, 연구 대상 선택 및 선택 기준, 연구 방법의 순서로 기술한다. 
② 연구 방법은 구체적이고 자세히 기술하여 다른 사람이 이 방법에 따라 동일한 연구를 할 수 있도록 적는다.
③ 연구 대상에서는 내담자 또는 대조군 등을 명백하게 제시한다. 
④ 연구 대상인 내담자의 나이, 성별, 다른 특징, 심리적 문제의 진단 방법을 상세히 기술하며, 핵심적인 축어록을 제시한다. 특히 사생활이나 신원을 알 수 있는 내용은 제거하며, 기술해야 할 경우에는 적절한 처리를 한다.
⑤ 잘 알려진 연구방법에 대해서는 참고문헌을 제시하고, 생소한 방법을 사용하거나 기존의 방법을 변형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참고문헌과 함께 그 내용을 간단하게 소개 하고 그러한 시도를 하게 된 이유와 장단점을 함께 제시한다.

(7) 연구결과(Result)
① 연구 결과를 표나 그림과 중복되지 않게 결론과 관계있는 중요한 것만 요약하여 논리적으로 기술한다. 
② 도표에 있는 모든 자료를 본문에 중복하여 나열하지 말고, 중요한 요점과 경향을 기술한다.

(8) 논의(Discussion)
① 연구에서 얻은 새로운 지견을 중심으로 하여 결과와 중복되지 않게 연구의 목적 결론을 연결하도록 논리를 편다. 
② 관계된 다른 연구결과와 비교 고찰하고, 연구의 목적과 결론을 상호 연계시킨다. 이 때 자료에 근거하지 않은 결론이나 근거 없는 주장은 삼간다. 얻은 자료로 주장 가능한 새로운 가설을 제안하고 이를 확인하는 적절한 방안도 포함한다.

(9) 결론(Conclusion)
① 연구 동기, 대상, 방법을 간략히 기술하고, 연구 결과를 명확하게 기술한다. 장황하게 기술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② 연구결과를 통해 도출된 제언이나 후속 연구에 대한 필요성을 적절하게 기술한다.

(10) 참고문헌(References)
① 본문에 인용한 문헌에 한하여 아래에 제시한 형식대로 나열한다. 초록이나 개인적인 지견(personal communication)을 인용하는 것을 삼가 한다.
② 참고문헌 및 문헌의 인용은 보기를 참고로 하여 작성하되, 보기에 포함되지 않은 경우에는 APA의 Publication Manual (5th edition)을 참고한다.

■ 참고문헌 인용

문헌의 인용은 보기를 참고로 하여 작성하되, 보기에 포함되지 않은 경우에는 APA의 Publication Manual (5th edition)을 참고한다.
학술대회의 초록은 참고문헌으로 인용하지 않는다. 본문에서 참고문헌을 인용할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한다. 단, 저자명은 영문으로 작성한다.

① 1인 저자인 경우
– 문장 서두 혹은 중간에 인용할 경우: Lee (1980), Smith (1987a & b)
– 문장 말미에 인용할 경우: (Lee, 1990), (Smith, 1986 & 1988)
② 2인 저자인 경우
– 문장 서두 혹은 중간에 인용할 경우: Lee와 Smith (1998)
– 문장 말미에 인용할 경우: (Lee & Smith, 1998)
③ 3인 이상 5인 이하의 저자인 경우
(첫 인용)
– 문장 서두 혹은 중간에 인용할 경우: Lee, Kim과 Smith (1998)
– 문장 말미에 인용할 경우: (Lee, Kim, & Smith, 1998)
(반복 인용)
– 문장 서두 혹은 중간에 인용할 경우: Lee 등(1998), Smith 등(1987a & b)
– 문장 말미에 인용할 경우: (Lee et al., 1998), (Smith et al., 1987a & b)
④ 6인 이상 저자인 경우
– 문장 서두 혹은 중간에 인용할 경우: Lee 등(1998), Smith 등(1987a & b)
– 문장 말미에 인용할 경우: (Lee et al., 1998), (Smith et al., 1987a & b)
⑤ 복합인용인 경우(인용의 순서는 알파벳 순으로 한다)
– 문장 서두 혹은 중간에 인용할 경우: Kim (2000), Lee (1998)와 Smith (1987)
– 문장 말미에 인용할 경우: (Kim, 2000; Lee, 1998; Smith, 1987)
⑥ 제1저자의 성이 같고, 같은 연도에 게재된 경우
– 문장 서두 혹은 중간에 인용할 경우: Lee, H. S. (1998)와 Lee, M. B. (1998)
– 문장 말미에 인용할 경우: (Lee, H. S., 1998; Lee, M. B., 1998)
⑦ 저자가 단체인 경우
(첫 인용)
– 문장 서두 혹은 중간에 인용할 경우: National Institute Mental Health [NIMH] (2003)
– 문장 말미에 인용할 경우: (National Institute Mental Health [NIMH], 2003)
(반복 인용)
– 문장 서두 혹은 중간에 인용할 경우: NIMH (2003)
– 문장 말미에 인용할 경우: (NIMH, 2003)
e.g.) 
∙실제로 시설노인들은 불행하고 불가항력적이며 원망스러운 삶 등을 경험하고 있으며(Lee, 2000), 삶의 질도 낮은 것(Ro & Kim, 1995)으로 설명하고 있다
∙지금까지 시설노인의 극복과 관련된 기존연구는 노인의 적응에 관한 연구가 대부분이고(Lee, G. E., 2002, 2007; Porter & Clinton, 1992; Shin, 2002) 긍정적인 적응을 이끌어 낼 수 있는 극복현상의 전후맥락을 심층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시설노인이 어떻게 시설생활을 극복해 나가는가에 대한 현상을 질적연구를 통해 이들의 경험 속에 비추어지고 있는 의미가 무엇인지를 파악해 볼 필요가 있다. 이러한 요구에 적합한 접근방법은 Colaizzi(1978)의 현상학 연구이다. Colaizzi(1978)의 방법은 대상자의 개인적 속성보다는 연구참여자 전체의 경험을 광범위한 차원에서 분석함으로써 …
∙특히 노인의 경우 희망을 가지고 자신의 미래를 보는 사람은 삶의 의미를 찾으며, 살아나가야 할 미래의 삶에서조차 의미를 발견하려는 의지를 발휘해야한다고 하였다(Choi, Kim, Shin, Lee, & Jung, 2003; Choi, Kim, Shin, & Lee, 2005).

■ 참고문헌 작성

① 본문이 영문이거나 국문이거나 모두 참고문헌을 영문으로 작성하며, 저자 이름의 알파벳 순으로 일렬번호 없이 배열한다.
② 저자가 3인 이내이면 모두 기재하고 4인 이상일 경우 3인까지만 적고 ___ et al.로 적는다. 영문 잡지명은 온전하게 기술하며, 이탤릭체로 작성한다.
e.g.) 
Jung, Y. J., Shin, K. I., & Choi, S. O. (2006). A survey on the meaning in life of elderly peopl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3(3), 501-509. Kang, Y. J. (2003) How do korean elderly women adapt to old age?: Themes and sources of meaning in their later lives from life stories.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1(3), 131-146.
Choi, S. O., Kim, S. N., Shin, K. I., et al. (2003) Development of elderly meaning in life (EMIL) scal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3(3), 414-424.

3) 국내 단행본
국내 저서의 경우(국내 저서는 대부분 영문 정보가 없다. 책 제목은 발음 그대로 영문으로 표기해 준다. 그리고 의미를 돕기 위해 영작을 괄호로 제시한다. 책 제목은 반드시 이탤릭체로 하다. 출판사 명은 출판사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하여 병기한다.)
e.g.) 법정(2010),『말과 침묵』, 서울 : 샘터
Bubjung. (2010), Malgua chimmuk (Speech and Silence), Seoul: Samtoh.

4) 국내 학위논문
e.g.)
Lee, G. E. (2000). Life of the institutionalized elderl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성, 이름(연도). 학위 논문 영문 제목.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학교명, 도시명)

5) 인터넷 정보 표시
e.g.)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7). Number of Social Welfare Institute. From http://kosis.nso.go.kr/cgi-bin 
(저자(연도). 정보제공처 명, From 인터넷 주소)

■ 표(Tables)

1) 표는 모두 별지에 영어로 작성한다. 
2) 본문에 인용되는 대로 순서를 정해, 간결하고 정확한 제목을 위에 적고 필요한 설명을 표 하단에 삽입한다. 
3) 표가 너무 커서 인쇄에서 한 페이지를 초과하거지 않도록 한다. 
4) 별표가 필요한 경우에는 기호대신에 위첨자로 하여 영문 소문자를 순서대로 사용한다( a), b), c)…).

■ 그림과 사진(Fig.)

1) 그림과 사진은 본문에 인용한 것에 한하여 표나 본문의 기술과 중복되지 않도록 인용순서대로 번호를 매겨 별지에 작성하고 그림과 사진 밑에 번호와 설명을 넣는다. 
2) 꼭 필요한 경우가 아니면 사진이나 그림이 127×173mm (5×7 in)를 초과하지 않게 작성 한다. 
3) 온라인 투고 시 그림 및 사진의 해상도는 최소 300dpi 이상이어야 하고, 각 그림, 사진의 파일은 하나씩 개별적으로 제출하여야 한다. 
4) 파일 형식은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사용한다.
– Tagged Image File Format (tif or tiff) 또는 JPEG (jpg)

II. 문헌학, 불교학, 철학 관련 논문의 경우

1. 일반적 사항
①게재를 위하여 투고하는 원고를 컴퓨터로 작성하며, ‘글’로 작성하는 것을 표준으로 한다.
②글씨체는 바탕체를 사용하며 크기는 10pt로 한다. 
③원고는 A4용지(210×297mm)에 줄간격(160%)로 작성하며, 총 페이지 수는 20페이지를 넘지 않아야 한다.
④ 원고의 여백 주기는 위쪽 30mm, 아래쪽 25mm, 왼쪽 25mm, 오른쪽 25mm로 작성하며, 각 페이지에는 페이지 번호를 부여한다.
⑤ 원고는 온라인으로만 제출하며, 온라인 논문투고는 http://kma.medicallove.com에 접속하여 투고한다.

2. 사용 언어 및 표기 원칙
①원고는 한글 및 영문으로 작성할 수 있다.
②한글 원고에서 학술 용어는 원칙적으로 한국 심리학계 표준 용어에 준하여 한글로 표기하며, 혼동의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 한하여 한자를 괄호 안에 넣고, 번역이 곤란할 때에만 영문을 사용한다. 
③약자의 무분별한 사용을 금한다. 표준화된 약자만을 허용하며, 제목이나 요약에 약자를 쓰지 않는다.
④ 인명, 지명, 고유 명사는 원자(原字)를 사용하며, 숫자는 아라비아 숫자를 사용한다. 혈액학적 수치와 임상 검사상의 검사치는 통상적인 단위나 국제단위(International Unit, SI)를 사용한다. 단위의 약어는 국제적인 관례를 따른다.

3. 원고작성 요령
– 원고는 겉표지 부분과 본문 부분으로 나누어 작성한다.
원고는 겉표지 부분과 본문 부분으로 나누어 작성한다.

1) 겉표지 작성요령
①제1저자와 교신저자 및 공동저자를 구분하여 표기한다. 첫 번째 표기되는 저자가 제 1저자이며, 공동저자는 그 다음에 표기한다.
②전체저자의 성명, 소속, 직위를 기재한다(국문, 영문 병행 표기).
③교신저자의 성명, 소속, 직위, 직장주소, 우편번호, 전화번호, E-mail 주소 등을 국문과 영문으로 표기한다(국문, 영문 병행 표기). 
④연구비 지원, 그 외 이해관계(conflict of interest)에 대하여 국문과 영문으로 기재한다.

2) 본문 작성요령
본문은 다음의 순서로 기재하며, 영문초록, 본문, 참고문헌, 표 혹은 그림의 순으로 하고, 각각은 별도의 페이지로 한다.

■ 논문의 구성

(1) 논문 제목 (Title)
제목은 논문의 목적을 요약 정리할 수 있는 최소한의 단어로 명확하게 작성하되, ‘무엇에 대한 연구’ 또는 ‘무엇에 대한 고찰’이란 표현은 하지 않도록 한다.

(2) 초록(Abstract)
1) 한글 원고에는 영문초록을, 영문 원고에는 한글 초록을 추가로 작성한다. 
2) 영어 250단어 이내로 Introduction, Body, Conclusion으로 구분하여 간결하게 한 문단으로 작성한다. 
3) 초록이 길면 반려될 수 있으므로 주의를 요한다.

(3) 핵심어(Key words)
1) 핵심어는 5단어로 사용한다.

(5) 서론(Introduction)
1) 논문의 목적과 중요성을 기술한다. 연구의 배경과 필요성을 요약하고 참고문헌은 직접 관련된 최근의 것으로 제한한다. 
2) 관련된 주제를 광범위하게 재론하거나 나열하지 말고, 발표할 결과나 결론을 포함시키지 않도록 한다.

(6) 본론(body)
1) 연구의 구체적인 내용을 장을 구분하여 명확히 기술한다. 
2) 장, 절, 항 등의 번호는 Ⅰ.→1.→1)→(1)→①의 순으로 매긴다.
3) 인용문이 두 사례 이상 연속될 때 인용문들 사이에서는 줄을 떼지 않는다.
예) 본문→(사이 한 줄)→인용문A→인용문B→(사이 한 줄)→본문
4) 표와 그림은 <표 1>, <그림 1>과 같은 형식으로 일련번호를 붙이고, 출처가 있을 경우 출처는 표와 그림의 하단에 “출처: ” 라고 표기한다. 단, 그림(사진)은 별도의 파일로 제출해야 한다.
5) 인용문 가운데 단어나 구절의 일부 생략은 줄임표(…)로, 완전한 문장의 생략은 중점줄임표(……)로 표기한다. 이때 ‘중략’이란 표현은 사용하지 않는다.
6) 강조는 홑따옴표(‘ ’)나 고딕체로 표기한다.

(7) 결론(Conclusion)
1) 연구 동기, 내용, 방법을 간략히 기술하고, 연구 결과를 명확하게 기술한다. 장황하게 기술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2) 연구결과를 통해 도출된 제언이나 후속 연구에 대한 필요성을 적절하게 기술한다.

(8) 각주(note)
1) 출처 표시에서, 동양어권 논문은 「 」, 저서는 『 』, 신문 및 잡지는《 》로 표기한다. 쪽수 표기는 동서양서 모두 ‘p.’ 로 통일하여 표시하며, 두 쪽 이상일 때는 숫자 사이에 ‘ – ’ 를 삽입한다. 각주에서 원문은 겹따옴표(“ ”) 안에 넣는다.
2) 예) 한자경,⋀「불교의 명상과 서양의 명상인지치료(MBCT)」,⋀『명상치료연구』⋀제3집⋀(서울:⋀한국명상치료학회,⋀2009), ⋀p.⋀77(“⋀”는 띄어쓰기를 나타냄); 인경스님, 『명상심리치료』(서울: 명상상담연구원, 2012), pp. 33-35; Lisa M. Schab, 『불안다루기』, 김수경 옮김 (서울: 명상상담연구원, 2012), p. 68
3) 서양어권 논문은 겹따옴표(“ ”), 잡지 및 단행본은 이탤릭체로 표기한다(나머지 사항은 동양어권의 그것에 준한다).
예) Padmasiri. de Silva, “Thinking and Feeling: A Buddhist Perspective”, SOPHIA, Vol.50.(2011), pp.256-257; Marvin Levine, The positive psychology of Buddhism and yoga (Mahwah, N. J.:Lawrence Erlbaum Publishers, 2000), p.50
4) 여러 권의 저서나 논문들을 함께 표기할 때는 단락을 나누지 말고 이어서 쓰고, 쌍 반점(;)으로 연결한다.
예) Padmasiri. de Silva, “Thinking and Feeling: A Buddhist Perspective”, SOPHIA, Vol.50.(2011), pp.256-257; Marvin Levine, The positive psychology of Buddhism and yoga (Mahwah, N. J.:Lawrence Erlbaum Publishers, 2000), p.50; Tilmann Vetter, The Ideas and Meditative Practices of Early Buddhism (Leiden :E. J. Brill, 1988), p.35 참조.

(9) 『大正新修大藏經』 인용의 경우는 다음과 같이 한다.
예) 『잡아함경』제 1033경(T2, p.270a) “若復長者依此四不壞淨已.”

(10) 티베트 대장경을 인용할 경우는 다음과 같이 한다.
예) P 103a2-3 (Peking판, Folio No. 103, 상면, 2번째 줄에서 3번째 줄까지) (* D …Derge판, C …Cone판, N …Narthang판)

(11) 팔리 문헌을 인용할 경우는 다음과 같이 한다.
예) DN II, p.258; Sn 780게송; Dhp 30게송; Vism p.300
기타 팔리 문헌의 약어는 Critical Pāli Dictionary(CPD) Vol. 1의 후기(Epiloegomena)에 준한다.

(10) 참고문헌(References)
본문에 인용한 문헌에 한하여 가나다 순 혹은 알파벳 순으로 나열한다. 초록이나 개인적인 지견(personal communication)을 인용하는 것을 삼가 한다.

(11) 그림과 사진(Fig.) 
1) 그림과 사진은 본문에 인용한 것에 한하여 표나 본문의 기술과 중복되지 않도록 인용순서대로 번호를 매겨 별지에 작성하고 그림과 사진 밑에 번호와 설명을 넣는다.
2) 꼭 필요한 경우가 아니면 사진이나 그림이 127×173mm (5×7 in)를 초과하지 않게 작성 한다. 
3) 전자투고 시 그림 및 사진의 해상도는 최소 300dpi 이상이어야 하고, 각 그림, 사진의 파일은 하나씩 개별적으로 제출하여야 한다. 
4) 파일 형식은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사용한다.
– Tagged Image File Format (tif or tiff) 또는 JPEG (jpg)

윤리규정

  • 1. 이론연구가 아닌 사례연구일 경우, 연구대상자에게 연구목적을 설명하고 충분히 인지된 상태에서 연구동의를 받아야 하며, 어떠한 경우에도 연구 참여를 강요할 수 없다.
  • 2. 연구 대상자를 구하기 위해 부적절한 대가를 제공하여서는 안 되며, 연구 진행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형태의 촬영이나 녹음에 대해서는 사전에 연구 대상자의 동의를 받아야 한다.
  • 3. 연구자는 연구참여 중 일어날 수 있는 정신적, 신체적 위해에 대해 대상자를 보호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다해야 하며, 연구대상자의 동의 없이 논문을 투고할 수 없다.
  • 4.다음과 같은 연구 부정행위가 있는 논문은 게재하지 않으며, 관련 세부사항은 출판위원회에서 정한다.
    1)위조: 존재하지 않는 데이터나 연구결과를 만들어내고 이를 기록하거나 보고하는 행위
    2)변조: 연구자료, 장비, 또는 과정을 조작하거나 데이터나 연구결과를 변경하거나 생략하여 연구 기록이 진실에 부합하지 않게 하는 행위
    3)표절: 정당한 권한 없이 타인의 아이디어, 과정, 결과, 또는 기록을 도용하는 것
  • 5.중복게재 및 중복투고를 금지한다. 타 학술지에 게재되었거나 투고 중인 원고는 본 학회지에 투고할 수 없으며, 본 학회지에 게재되었거나 투고 중인 논문은 타 학술지에 게재할 수 없다.
    1)중복게재의 판정 기준은 다른 언어, 일부 혹은 전부, 인쇄 혹은 전자매체, 학술지의 등록 및 등재 여부를 막론하고 게재된 적이 없어야 한다.
    2)저자가 본 학술지에 게재된 원고를 다른 언어로 이차게재 하고자 하는 경우 양 학술지 출판위원장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3)중복게재 여부는 출판위원회에서 원고의 내용을 검토하여 결정한다.
  • 6.위와 같은 연구윤리 규정에 어긋나는 사안이 발생하면 출판위원회에서 그 문제를 논의하고 사안의 경중을 감안하여 그에 따른 조치를 결정한다. 학회 이사회를 통해 연구윤리 위반사항과 그에 따른 조치사항을 확인한 후 학회 명의로 저자와 저자가 소속한 기관에 그 결과를 통보한다. 만일 대상자가 학회의 결정을 수용하지 않는다면 한국명상상담학회 윤리위원회에 의뢰할 수 있다.